[스크랩] 20121102 서울대학교 불교철학 9강2, 괴로움의 소멸에이르는 길의 고귀한 진리 1 20121102. 2012년 2학기 김재성 교수 서울대학교 불교철학 강의 9강2, 괴로움의 소멸에이르는 길의 고귀한 진리 1 20121102. Seoul National University, Buddhist Philosophy Lecture 9-2, Noble Truth of leading to cessation of Suffering by Prof. Jaesung Kim (in Korean) http://youtu.be/vG8jU0G0ncE Buddhanam 2012.11.07
[스크랩] 들숨날숨에 대한 마음챙김(아나빠나사띠)의 빠알리 원문과 한글번역 들숨날숨 상윳따(S54) Aanaapaana-sam*yutta 하나의 법 경(S54:1) Ekadhamma-sutta Evamme sutam* -- ekam* samayam* bhagavaa saavatthiyam* viharati jetavane anaathapin*d*ikassa aaraame. Tatra kho bhagavaa bhikkhuu aamantesi "bhikkhavo"ti. "Bhadante"ti te bhikkhuu bhagavato paccassosum*. Bhagavaa etadavoca: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사왓티.. Buddhanam 2012.10.05
[스크랩] 깃발 경(다작가 숫따, Dhajagga-sutta, S11:3) 빠알리 원문 및 한글번역 - 삼보는 불자들의 깃발! - 삼보에 귀의하면 두려움과 공포가 극복된다 깃발 경(S11:3) Dhajagga-sutta [본경은 스리랑카에서 Maha Pirit Pota(대 보호주를 모은 책)에 포함되어 보호주(paritta)로 널리 독송되고 있다. 북방불교에서도 중국과 티벳에서 번역되었으며 산스끄리뜨로 된 경의 단편이 발견되었다.] 1. Evamme sutam* -- ekam* samayam* bhagavaa saavatthiyam* viharati jetavane anaatha.. Buddhanam 2012.10.05
[스크랩] 공포, 전율 또는 털이 곤두서는 두려움이 있을 때 - Dhajaggasutta.다작가경(깃발경) 다작가경 (깃발경-Dhajaggasutta.- The Flag on Top, 상윳따니까야 S11.1.3, 전재성님역)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싸밧티의 제따바나에 있는 아나타삔디까 승원에 계셨다. 그때 세존께서는 '수행승들이여'라고 수행승들을 부르셨다. 수행승들은 '세존이시여'라고 대답했다. 세존께서.. Buddhanam 2012.10.05
[스크랩] 20121001 Publications by Bhikkhu Anālayo Publications by Bhikkhu Anālayo http://www.buddhismuskunde.uni-hamburg.de/fileadmin/pdf/analayo/publications.htm BOOKS: 1) A Comparative Study of the Majjhima-nikāya, (Dharma Drum Buddhist College Research Series), Taipei: Dharma Drum Publishing Corporation, 2011, 1084 pages (2 vols.). 2) From Craving to Liberation – Excursions into the Thought-worl.. Buddhanam 2012.10.02
[스크랩] 과거28불의 이름은, 과거칠불과 Imee Ooi(黃慧音)의 칠불멸죄진언 과거28불의 이름은, 과거칠불과 Imee Ooi(黃慧音)의 칠불멸죄진언 우리나라 불자들의 인사는 “성불하세요” 이다. 그런데 이 말 뜻을 알고나 사용하는 것일까. 초기불교에서 말하는 성불(成佛)의 과정은 지극히 어렵다. 무수한 세월 속에서 단 한 분 밖에 출현 할 수 없는 부처가 되라고 하.. Buddhanam 2012.09.22
[스크랩] Re:천상 세계에 대한 질문좀 드립니다.. 질문 감사합니다. 올려주신 질문에 대해서 간략하게 몇 자 적어보겠습니다. 먼저 상좌부 불교의 세계관에 의하면 천상은 26천(욕계천상:6 + 색계천상:16 + 무색계천상:4)이고 여기에다 지옥/축생/아귀/아수라/인간을 넣어서 세상은 모두 31가지 세상이 됩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아비담마 길.. Buddhanam 2012.09.12
[스크랩] 선정 또는 삼매 그리고 위빠사나 어떤 상태를 보고 선정 또는 삼매라고 하는가? 선정 또는 삼매의 기준은 무엇인가? 여기서 용어 정리를 간단히 해 볼 필요가 있다. 삼매는 빨리어 용어로는 사마디(samadhi)라고 하며, 이를 중국어에서는 선정(禪定) 또는 삼매(三昧)라고 한다. 삼매는 사마디를 음역한 것이고, 선정은 의역한.. Buddhanam 2012.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