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모니 부처님의 전생이야기
- 연등불(燃燈佛)과의 만남 -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는 오래 전(4아승지 10만 겁 전) 연등불(Dīpankara Buddha)이 세상에 나와 교화하실 때, 수메다(Sumedha)라는 수행자였다.
수메다는 부모로부터 많은 재산을 상속받았으나, 모두 보시하고 출가하여 수행자가 되었다.
그는 연등불을 만나기 전에 홀로 수행해서 8선정(색계 4선, 무색계 4정), 5신통(천안통, 숙명통, 신족통, 천이통, 타심통), 5근(信, 精進, 念, 定, 慧)을 갖추고 있었다.
색계, 무색계 선정과 5신통 그리고 5근을 혼자 갖춘 것의 의미
연등불께서 마을로 오신다는 소식을 듣고 마을로 와서 부처님이 지나가실 길을 고치다가 물이 고여있는 곳을 맡게 되었는데, 이 때 자신의 머리카락으로 그곳을 가려서 부처님께서 지나가시도록 했다.
연등불의 예언(授記)
연등불은 이러한 수메다 행자의 근기를 살피시더니, '그대는 4 아승지 10만겁 후에 석가모니라는 붓다가 되리라'하고 예언하였다. 이 수기를 받고나서 수메다는 최상의 깨달음을 이루려고 결심한 존재인 보살(菩薩, bodhisatta)이 되었다.
당시 수메다 행자는 마음만 먹으면 아라한에 이르는 길을 선택할 수도 있었는데, 연등불을 보고 원대한 원(願)을 가지고 있었기에 연등불과 같이 붓다가 되는 길을 택하게 되었다.
그 후, 긴 세월 동안 10바라밀*을 닦아 완성하여 2600여년 전에 인도(지금의 네팔)에서 태어나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었다.
*보디삿따(보살): 위없는 깨달음인 무상보디를 얻고자 마음을 일으킨 자
삿따(중생): 감각적 욕망이나 색계, 무색계의 행복을 바라는 자
*10바라밀
베풂(dāna 布施), 규범(sīla 持戒), 욕망을 멀리함(nekkhamma 出離), 지혜(pannā 智慧), 노력(viriya 精進), 참음(khanti 忍辱), 진실(sacca 眞實), 굳은 결심(adhiṭṭhāna 決意), 자애(mettā 慈愛), 평온(upekkhā 平穩)
비교: 대승불교의 6바라밀 –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
(6바라밀의 선정에 해당하는 덕목은 자애와 평온)
*아라한의 길과 붓다의 길의 공통점(漏盡通)과 차이점(중생 교화력과 大悲心)
성문(聲聞) 제자들은 갖추지 못한, 붓다만이 지닌 여섯 가지 지혜[六不共智; cha-asādhāraṇa-nāṇa]가 있다.
① 중생들의 다섯가지 기능[五根; 信∙精進∙念∙定∙慧]에 대한 앎 indriyaparopariyatte nāṇaṃ,
② 중생들의 개별적인 성향과 잠재된 번뇌에 대한 앎 sattānaṃ āsayānusaye nāṇaṃ,
③ 몸에서 물과 불을 동시에 보이는 신통지[雙身變智] yamakapāṭihīre nāṇaṃ,
④ 대비정(大悲定)의 앎 mahākaruṇā samāpattiyā nāṇaṃ,
⑤ 일체지(一切智) sabbannuta nāṇaṃ,
⑥ 무장애지(無障碍智) anāvaraṇa-nāṇaṃ.
無碍解道「大品」「智論」Paṭisambhidamagga,Mahāvagga nāṇa-kathā, Paṭis I 3, 158ff., 참조.
'초기불교산책_김재성교수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013. 3. 3. 삼보법회 김재성 초기불교산책06 전도선언의 의미와 카샤파 삼형제의 귀의 (0) | 2013.03.16 |
---|---|
[스크랩] 2013년 2월 3일 삼보법회 김재성 초기불교산책05 설법의결심과초전법륜 (0) | 2013.02.08 |
[스크랩] 2013. 01. 06. 삼보법회 김재성 초기불교산책04 깨달음전후의 수행과 깨달음의내용 (0) | 2013.02.08 |
[스크랩] 2012. 12. 02 삼보법회 김재성 초기불교산책3 부처님의 출가에서 고행까지 (0) | 2013.02.08 |
[스크랩] 2012.11.04 삼보법회 김재성 초기불교산책2 부처님탄생에서사문유관까지 (0) | 2013.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