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노(意)와 법(dhamma)에 대한 용어정리
가. 6문 12처 18계에 나오는 의(意 mano)에 대한 정리
mano를 의식(viññāņa)과 의식의 대상인 법(dhamma)를 연결시켜주는 감각기관(indriya)로 알고 있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mano는 여러 가지 경우로 사용된다.
1. mano dvara(意門)
2. mano āyatana(意處)
3. mano dhatu(意界)
4. mano āyatana dhatu(의식계)
6문의 하나인 manodvara에서 mano는 바왕가(bhaṅga)를 말한다.
12처의 하나인 manoāyatana에서 mano는 마음(citta)과 식온(viññāņa)과 동의어이다.
18계에 하나인 마노의 요소(manodhatu)에서 mano는 오문전향(1)과 유익한 과보로 나타난 받아들이는 마음과 해로운 과보로 나타난 받아들이는 마음, 3가지 마음이다.
의식계(manoāyatanadhatu)에서의 mano는 89가지 마음에서 전오식(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의 善,不善의 마음 10가지와 意界의 3가지 마음을 뺀 76가지 마음이 의식계이다.
나. 법(dhamma)에 대한 정리
앗타살리니에서 붓다고사는 아래의 4가지로 법(dhamma)을 정리하고 있다.
1. pariyati(교학)으로서의 법 : 부처님이 설하는 가르침.
2. hetu(원인, 조건)으로서의 법 : 4무애해 가운데 법무애해에서의 법의 의미는 원인, 조건을 말한다.
3. guņa(덕)으로서의 법
4. nissatta-nijjīvatā : 개념이 아닌 것, 즉 빠라마타 궁극적 실재를 말한다. 마음 1가지(세분하면 89가지), 52가지 마음부수, 28가지 물질, 열반, 모두 82가지 이다.
앗타살리니에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 우리가 흔히 사용하면서 헷갈리는 것이 있다.
마음의 대상으로서의 법과 12처에서의 법이다.
마음의 대상으로서의 법에는 6가지가 있다. 마음(1), 마음부수(52), 미세한 물질(16), 감성의 물질(5), 열반, 개념이다.
12처에서의 법처(dhammāyatana)를 이야기 할 때는 미세한 물질 16가지, 마음부수 52가지, 열반을 말한다.
'Buddhan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보리회 김재영법사 대열반이란 (0) | 2012.03.30 |
---|---|
Buddha Diamond Sutra (0) | 2012.03.15 |
[스크랩] 빠알리로 찬팅 (기도)하는 순서 (0) | 2011.12.10 |
[스크랩] 자애송 - 빠알리-한글음-의미 그리고 음악을 올립니다. (0) | 2011.09.05 |
[스크랩] 왜 여래(따타가따, Tathagata)라 하는가, 여래십호와 상좌불교의 구공덕게 (0) | 2011.06.20 |